통일부는 금강산 관광 사업이 현대아산측에 사업권이 있음에도 중국에서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것과 관련, “정당하게 체결된 남북 사업자간의 계약과 남북 당국간 합의, 국제 관례 등을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25일 현안브리핑에서 “중국여행사의 금강산 방문과 관련해서는 현재 홈페이지등을 통해서 관광상품을 광고하고 있는 단계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중국 고려관광은 내달 7~17일(10박11일) 외금강 관광이 포함된 관광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 부대변인은 “정부도 현지상황을 사업자와 협의하면서 계속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면서 “중국정부나 세계관광기구등의 협조를 요청하는 등 당국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계속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5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명의의 공한을 중국 정부에 보내 금강산 관광지구의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 등을 관광 대상 지역에서 제외하도록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중국의 관광정책 담당 부처인 국가여유국은 이달초 답신을 통해 ‘중국은 관련 법을 존중한다’ ‘남북 간 대화로 문제를 해결했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전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 관광객 30여 명이 지난달 말 외금강 지역을 관광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중국 정부가 소규모 관광 상품에 대해서는 문제삼지 않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때문에 향후 현대아산의 사업권 침해 논란이 일고 있는 중국의 금강산 관광상품이 계속 추진될 경우 북한 뿐아니라 중국과도 마찰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