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14일 북한산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부품 밀수출 의혹사건과 관련, “관련 보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사실확인 후)중국 법에 의해 엄하게 처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국에서 지난 5월 중국 어선에서 북한이 제조한 것으로 보이는 미사일 부품이 발견돼 억류됐다는 보도가 있는데 관련 내용을 확인해 달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지난 5월 부산항을 거쳐 시리아로 향하던 중국 선박 ‘신옌타이호’에서 북한산으로 추정되는 흑연 실린더 445개가 적발됐다. 사건 발생 직후 정부 당국은 유엔에 이 같은 사실을 보고 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는 적발 사실을 보고 받고 6개월째 조사를 벌이고 있다. 신옌타이호는 2005년에 건조된 것으로 중국 상하이의 한 선박회사 소유로 알려졌다.
중국이 이처럼 신속하게 대응하고 나선 것은 탄도미사일 부품이 중국 선박에 선적돼 있었다는 부담감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외교가에선 중국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실효성이 없다는 인식 때문에 중국의 연루 여부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AP통신은 유엔 외교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부산세관에서 지난 5월 적발된 북한 탄도미사일 부품 밀수출 사건에 대해 한국 정부가 6월 29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보고, 이에 대한 위원회 차원의 실사가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진행됐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4월 북한 태양절 열병식 때 선보인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대 차량이 중국산이라는 의혹과 관련해 중국 당국은 “북한에 벌목 수송용으로 6대를 수출한 것”이라고 최근 유엔 측에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