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출범한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체제의 중국이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제재 움직임에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반도 정세가 기복을 되풀이하는 근본 원인은 (북한의) 안보에 대한 우려 문제”라면서 “유엔 안보리의 관련 대응은 신중하고 적절해야 하며, 한반도 정세를 격화시키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의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에 따르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뉴욕에서 긴급 소집된 유엔안보리 회의에서 미국과 중국은 대북제재와 관련 설전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 수잔 라이스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북한의 위성 발사에 대해 안보리 결의안 위반이며 지역 안정을 해치는 도발적 행위로 규정해야 한다”고 언급하자 리바오둥 중국 대사는 “북한을 비난할 필요가 없다”며 “로켓발사 실험이 지역 안정을 위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4월 발사를 앞두고 중국 외교부가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까지 초치해 강력한 우려의 뜻을 전달하고, 발사 직후에는 곧바로 유엔 안보리의 의장 성명 채택에 동조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달 30일 중국은 리젠궈(李建國)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부위원장을 특사로 파견해 김정은에게 시 총서기의 친서를 전달했지만 북한은 면담 다음 날에 바로 장거리 미사일 발사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중국은 비공개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도록 설득했지만, 북한은 미사일 발사를 강행해 중국이 이번 만큼은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됐었다.
일각에선 시진핑 시대의 중국이 북한을 한미일 동맹에 대항하는 카드로 활용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