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조치로 대북 원유 수출을 중단하면, 북한은 어떤 타격을 받을까? 북한이 자국에서 사용하는 원유 90% 이상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만큼, 원유를 들여오지 못하면 북한의 당군정(黨軍政) 모든 기관이 마비되는 ‘원유대란’이 초래될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이다. 이렇게 되면 안정성이 취약한 김정은 체제가 일주일도 버티지 못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중국에서 유무상으로 북한으로 들어가는 원유는 우선 평안북도 신의주 인근에 위치한 ‘백마 연유창’에 저장되고 이후 북한 주요 각 국가 기관과 운송 관련 공장기업소, 군부대 등에 우선 공급된다. 백마 연유창과 중국 단둥 사이에 연결된 송유관이 주요 원유 공급 라인이다. 백마 연유창으로 들어온 원유가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은 평양이다. 유조열차와 유조화물차량으로 원유가 평양으로 공급되면, 중앙당 주요 기관들과 평양시 운송업, 운수업 관련 기관들이 연료를 우선 공급받는다.
이후 남포를 비롯한 서해안의 각 항구와 서해지구 군부대 등이 원유를 공급 받는다. 또 백마 연유창에서 동해에 위치한 ‘문천 연유창’에도 원유가 공급돼 동해의 기관들과 기업소, 군부대에도 원유가 공급된다. 그야말로 중국산 원유가 북한의 모든 기관과 군부대, 그리고 공장기업소에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중국이 원유 공급을 중단하면 북한이라는 국가는 마비되는 셈이다.
북한에서 원유 공급 관련 일을 한 적이 있는 탈북자들에 의하면, 북한에 원유 공급이 끊기면 김정은이 중국에 원유 공급 재개를 애원할 정도로 최악의 상황이 초래된다. 북한은 전시 대비 3개월치의 원유를 비축해 놓지만, 중국으로부터의 원유 공급 중단은 전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비축 원유를 사용할 수 없다.
일단 북한의 핵심 기구라고 할 수 있는 중앙당 및 산하 기관과 내각 그리고 군부대 등의 운영에 차질을 빚게 된다. 당장 난방을 할 수 없어 간부들이 정상적인 업무를 볼 수 없으며, 휘발유나 디젤유 공급이 끊겨 차량을 통한 이동이 제한 받는다. 특히 교통수단이 마비돼 간부들과 노동자들의 출근이 어려워져 기관부터 공장기업소까지 전부 문을 닫게 될 소지가 크다.
특히 인민경제는 ‘완전마비’ 상태에 이른다. 모든 차량의 운행이 중지돼 원자재를 수송하지 못해 가공업 관련 생산이 중단된다. 또 쌀을 포함한 먹거리나 생필품 조달도 어려워 물가가 치솟아 주민들이 생계에 위협을 받게 된다. 무엇보다 현재 북한에서 물류운송의 핵심 수단인 디젤 기관차의 운행도 중단된다. 김정은이 ‘물고기 풍년’을 주장하며 수산업을 독려하고 있지만, 잡은 물고기를 배급할 운송 수단도 멈출뿐더러 선박은 원료가 없어 바다에서의 조업을 못하게 된다.
북한 김정은 체제유지의 보루라고 볼 수 있는 군도 치명적인 타격을 받게 된다.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 만들어놓은 각종 무기도 전부 무용지물이 된다. 포차와 장갑차, 해군함선, 그리고 전투기 등이 전부 원유(디젤유 등)를 연료로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군인들에게 지급할 후방물자도 이동시키지 못해 군인들이 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익명을 요구한 고위 탈북자는 13일 데일리NK에 “중국으로부터의 원유 공급이 끊기면 인민 경제의 각 부문과 군부대, 중앙 기관, 항구, 공장기업소 등 모든 곳의 가동이 중단될 것”이라면서 “심지어 주민들은 원유는 구경도 못해 차량 대신 등짐을 지며 힘겹게 물건을 날라 왔는데, 원유가 끊겨 물가마저 치솟게 되면 ‘이게 다 핵 때문’이라면서 극도의 불만을 표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북한에는 전기나 가스가 부족하기 때문에 결국에 믿을 게 석유 뿐인데, 석유가 없으면 말 그대로 모든 국가 기관이 정지된다”면서 “자가용을 포함한 모든 교통 수단이 끊겨 출근을 할 수 없으니 국가기관 운영이 되지 않고, 현재 우선적으로 공급되는 군부대에도 원유 공급이 끊기며 모든 무기를 사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북한은 중국에서 원유를 공급받으면 전쟁 예비 물자로 3개월 치를 비축해 두는데, 이건 전쟁이 나지 않는 이상 절대 사용할 수 없도록 돼 있기 때문에 원유 고갈 시에도 무용지물”이라면서 “원유가 없으면 북한 당국은 한 마디로 질식해버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재평 前 북한민주화위원회 사무국장도 “공장은 원자재를 실어올 수송수단이 마비돼 마무너지고, 일반 국가기관이나 중앙당에선 ‘출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게 된다”면서 “만약 중국으로부터 원유를 공급 받던 송유관이 끊긴다면 북한의 모든 운송 수단이 멈춰 설 뿐만 아니라 김정은 체제가 일주일도 버티기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에 간헐적으로 원유를 공급하던 러시아나 일부 중동 국가들도 북한에게는 ‘믿을 만한 구석’이 되지 못 한다. 북한과 러시아를 잇은 나선 송유관 시설이 열악해 현재 지속적인 원유 공급이 어려운 상태다. 또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유조선을 통해 동해 문천 연유창과 흥남, 청진으로 들어오는 원유양은 북한의 전체 원유 사용량의 10%에 불과하다는 것이 탈북자들의 전언이다. 중동으로부터 원유를 들여오던 북한 유조선의 수송량도 극히 적은 것을 알려지고 있다.
서 사무국장은 “중국이 제재를 가할 만일의 상황을 대비해 북한이 러시아나 중동과 원유 유통 루트를 발굴하는 등 ‘원유 수입 다변화’를 시도하긴 했으나, 여전히 대중 원유 의존도는 90%이상이다”고 말했다.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도 “북한이 대체 방안을 찾기 위해 다른 나라에 원유를 요청할 수는 있으나, 탱크선이 많지 않고 비용도 비싸기 때문에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북한이 러시아에 채광권을 넘기며 ‘딜(deal)’을 할 수도 있겠으나, 원유 공급이라는 건 그렇게 쉽게 성사되는 게 아니다. (중국 지원에 비해) 공급량도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러시아를 설득하는 기간 동안 피해가 막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이 자칫 북한의 급변사태를 불러올 수 있는 강력한 대북 제재에 적극 동참할 지는 미지수다. 중국은 대북원유 중단으로 인한 북한급변사태가 중국의 안정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크게 우려하기 때문이다. 중국이 이번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조치로 대북 원유공급을 중단할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