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국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와 윈난(雲南)성 쿤밍(昆明) 등지에서 중국 공안(公安)에 붙잡혀 북한과 인접한 지린(吉林)성 투먼(圖們) 국경경비대에 넘겨진 것으로 알려진 탈북자 20여 명이 이달 초 강제 북송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대북 소식통은 12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이달 초 투먼으로 들어온 탈북자들이 북한으로 이미 송환됐다”면서 “보통 일주일 정도 있다가 송환되는 기존의 절차에 따라 북으로 보내졌다”고 전했다.
지난달 22일경 우리 언론을 통해 중국 칭다오 등에서 탈북자 20여 명이 사복을 입은 중국 공안에서 붙잡혔다고 보도된 바 있다. 체포된 탈북자는 60대 부부를 비롯한 네 가족과 20대 청년 및 돌을 갓 넘긴 영아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었다.
특히 이들 외에 탈북을 도왔던 가이드 6, 7명도 함께 체포됐는데, 가이드 중에는 이미 탈북에 성공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도 있었다. 한국 국적 탈북자도 북송됐냐는 물음에 소식통은 “중국의 처벌을 받은 것이고, 북송까지는 안 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 6월 중국 옌지(延吉) 등에서 붙잡힌 탈북자 11명도 북한으로 송환됐다. 소식통은 이들에 대해 “7월 말에 북송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최근 중국에서 탈북자 추가 체포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중국 공안이 최근 탈북한 사람들은 물론이고 시내 외곽에서도 한참 벗어난 지역에서 오래살던 탈북자까지 체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알려왔다.
그는 “(동북 3성에) 중국인 남편을 두고 아이까지 낳고 살고 있는 탈북 여성들도 다 잡으라는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공안이 친하게 지내던 탈북자들에게 ‘지금은 피할 시기’라고 귀띔해주고 있는 실정”이라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이런 상황을 보면 중국 당국에서 (탈북자 체포는) 일괄적으로 내린 지시라고 판단할 수 있다”면서 “북한이 탈북자 체포에 열을 올리고 있으니, 나중에 (탈북자 문제가) 큰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이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중국 공안이 이미 탈북자 단속에 들어갔다는 말도 나온다. 중국 내 한 대북소식통은 “각 성(省), 시(市), 현(縣)의 지역별 공안까지 체포조를 구성해 탈북자를 색출하라는 지령이 내려갔다”며 “10월 말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언론에 공개만 안 되었을 뿐 중국 공안들이 오래전부터 탈북해 정착한 탈북자들을 이미 체포해가고 있다는 말도 있다”면서 “이번 단속기간에 붙잡힌 탈북자는 북송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