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北인권상황 비판-유화정책은 보완적”

“북한 인권상황을 바로잡으려는 노력과 대북 유화정책이 상호 보완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북한 인권상황을 비판해온 대표적인 해외 인사인 프랑스의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인 피에르 리굴로(62)가 8~10일 서울에서 열리는 북한인권대회에 참석에 앞서 6일 파리 시내 카페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가졌다.

그는 “북한 인권 문제가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는 전지구상의 현안인 만큼 어느나라 사람이든 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의 대북 유화정책에는 북한 인권 비판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리굴로는 소르본대 철학과에서 공부한 뒤 1980년대부터 북한 체제를 포함한 공산주의를 집중 연구해 왔으며 북한인권 상황을 고발하는 저서 ’평양의 어항’(2001년)을 탈북자 강철환씨와 공동 저술해 주목받았다.

그는 현재 시사전문지 ’사회사평론’의 편집장과 ’사회사연구소’ 이사를 맡고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북한 인권 현실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 사회주의, 공산주의, 노동조합운동을 연구하는 기관에서 일하면서 관심을 갖게 됐다. 아메리카의 쿠바와 아시아의 북한에 특히 주목했다. 북한은 더 이상 레닌과 스탈린 등 공산주의 사상을 따르지 않으며 김일성과 김정일식 공산주의를 추종한다. 이런 독특한 변화에 관심이 갔다.

북한은 핵과 남북 통일 이슈 등 국제 정치와 관련해서도 주목받는 나라다. 몇년 전만해도 어떤 큰 변화를 기대했으나 실제론 없었다. 계속되는 6자회담과 대북 유화정책 등 닫힌 문을 열려는 여러 시도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신변보호를 받으며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아 북한에 갈 수가 없었다. 탈북자들의 증언과 각종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한다. 과거 주불 북한대표부 관계자가 나에게 협박 전화를 한 적도 있다.

— 탈북자 출신 한국 일간지 기자와 함께 쓴 저서 ’평양의 어항’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탐독한 것으로 보도됐는데.

▲ 매우 자부심을 갖고 소중히 여기는 책이다. 부시 대통령이 실제로 읽었는지 모르겠으나 책 내용이 부시의 대북 비판을 뒷받침하는 면이 있다고 본다.

부시 대통령은 대화를 중시하는 클린턴 전 대통령과는 상반된 정책을 펴왔다. 그러나 최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자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안전을 중요시 하면서 인권존중과 민주주의 확산에도 힘을 기울이며 이런 확산 현상이 북한 내부로 스며들기를 원하고 있다.

— 한국이 유엔 대북인권결의안 표결에서 기권한 것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대북 인권문제 접근 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 한국은 10여년 동안 햇볕정책을 펴왔으나 별다른 결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한국 정부의 대북 인권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북한 인권 상황을 비판하는 민간단체들의 노력을 정부가 격려해줄 필요가 있다고 본다.

대북 유화정책과 북한 인권상황 비판이 공존하는 것에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두 문제가 상반된 것이라기보다는 보완적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북한 비판중에는 북한 주민의 인권향상을 위한 것 이외에는 다른 것이 없었다. 북한의 근본적인 체제 변화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무작정적인 식량 제공 등 유화정책 만으로는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 서울에서 열리는 북한인권대회에서 어떤 점을 강조할 것인가.

▲ 기회가 되면 북한의 인권 현황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그리고 내가 펼치는 활동이 한국 정부의 대북 대화정책과 경제교류 정책에 반대되는 입장이 아니라는 점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북한 인권 현황을 비판하는 한국의 민간단체들이 미국의 정책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지적도 있을 수 있으나 미국 정책을 따르기보다는 인간으로서 어느 나라에서든 인권 문제가 있을 경우 비판을 해야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일은 한국이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면에서 동의하나 인권 문제에 관해서는 어느나라 사람이든 국경의 벽을 넘어 지구상에 사는 인류로서 관여할 수 있다고 본다.

— 북핵 6자회담과 북한 체제에 대한 전망은.

▲ 여러번 회담을 했으나 만족한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북한은 작은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며 대화를 질질 끌려는 면이 있다. 체제 유지를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

북한의 현 체제 해체 이후에나 근본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듯하다. 폴란드나 슬로바키아가 경험한 것과 같은 혁명이 나올 만한 여지가 북한에는 없다./파리=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