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오후 속개된 통일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 내정자는 “자주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소중한 가치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자주와 한미동맹은 모두 가져가야 할 것인데도 우리 사회의 극단적인 세력들에 의해 도 아니면 모라는 생각이 강요되고 있다”면서 “한반도에서 균형을 잡아가는 것이 외교 안보의 핵심적인 과제”라고 말했다.
박계동 의원은 “과거 세미나도 함께 하면서 민중 민주주의적 사고를 가진 적도 있지만 본인은 버렸다”면서 “그러나 이 내정자는 그런 점은 분명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 내정자는 계속 이어지는 이념시비에 대해 강한 톤으로 불만을 표현하기도 했다.
그는 “북한을 한번도 찬양해 본 적이 없다”면서 “친북좌파 시비에 대응하지 않는 것은 일고의 가치도 없기 때문에 일일이 반응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3년 동안 NSC 주도로 국방비를 9% 늘려왔는데, 이런 자신을 친북좌파라고 하는 점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박성범 의원은 이종석 내정자의 거듭된 해명에도 과거 행적과 NSC 활동, 그리고 인사청문회를 검증한 결과 통일부 장관으로 부적격이라는 점을 다시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 내정자 스스로는 부인하지만 친북좌파적 성향이라는 점이 분명하고, 30대 젊은 나이의 글이 기억나지 않는다는 도덕적 자질의 문제점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핵보유 성명으로 파탄난 대북유화정책을 추진하고, 납북자 및 국군포로 문제를 방기한 책임이 있다”면서 지명 철회를 거듭 요구했다.
박 의원이 “영토조항 삭제 등 통일헌법에 관해 논의한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그런 논의는 진행된 바 없다”고 말했다.
여당 내에서도 북한인권을 거론하지 않은 데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왔다.
열린우리당 정의용 의원은 “북한 인권을 거론하지 않은 점은 매우 실망스럽다”면서 “인권의 보편성을 볼 때 북한도 예외일 수 없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정부 입장을 이해하지만 우리나라의 국가적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원칙을 절충하거나 이중 기준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이 이 내정자의 업무스타일이 독선적이라는 지적이 있다고 묻자, 이 내정자는 “고집스런 부분이 있다”고 대답했다.
신주현 기자 shin@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