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공조 이탈 막기 위해 사드 민감반응 中과 소통 지속”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반발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가운데,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을 재확인하고 중국과의 소통에도 주력키로 했다.

윤 장관은 25일 오후(현지시간)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ASEAN) 관련 회의를 계기로 라오스 비엔티안의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케리 장관과 회담을 하고, 모두 발언서 “현재 우리는 북한 등으로부터의 핵심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우리의 동맹이 어느 때보다도 강력하며 깊고 넓다는 매우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케리 장관도 “한미는 북한의 무기개발이라는 도전과 무책임한 핵 개발 활동, 역내 불안정이라는 큰 문제를 안고 있다”면서 한미 간의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후 기자들에게 “양 장관이 이번 주한미군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한 동맹 차원의 결정을 평가하고, 이것이 한미 연합방위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고 밝혔다.

당국자는 또 “사드 배치 이후에도 한미 양국이 중국과 소통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런 기회가 더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사드 배치에 노골적인 반대 입장을 피력한 것과 관련해 케리 장관이 별다른 병가는 하지 않았다고 당국자는 덧붙였다.

이와 함께 양국 정상은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나올 때까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를 유지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과 러시아 등 최근 사드 배치에 반발하고 나선 일부 국가들이 이탈 없이 제재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 방안도 논의됐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회담을 통해 양국 외교수장이 북핵 압박 공조를 강조하는 동시에 한미동맹의 견고함을 과시한 것은 최근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사드의 효용성과 국제사회의 대북공조 와해 가능성을 제기한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와 관련 또 다른 외교부 당국자는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및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의 계기를 국제사회에 북핵불용 의지를 보여주는 기회로 삼자는 것이 오늘 논의의 핵심”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