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 없는 北서 과일 신선하게 먹는 방법은?

진행 : 매주 수요일 북한 경제를 알아보는 ‘장마당 동향’ 시간입니다. 이 시간에는 강미진 기자와 함께 북한 장마당 상황 알아볼텐데요. 먼저 ‘한 주간 북한 장마당 정보’ 듣고 강미진 기자 모시겠습니다. 

지난주 북한의 쌀값과 환율을 비롯해 북한 장마당에서 팔리는 물건 가격 알려드립니다. 먼저 쌀 가격입니다. 평양에서는 1kg당 5150원에, 신의주에서는 5200원에, 혜산은 5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환율입니다. 달러는 1달러 당 평양과 신의주는 8,200원 혜산은 8,15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옥수수 가격입니다. 평양과 신의주에서는 1kg당 2000원, 혜산에서는 23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돼지고기는 1kg당 평양 14000원, 신의주 14000원, 혜산 15000원입니다. 이어서 기름 가격입니다. 휘발유는 평양과 신의주에서는 1kg당 9300원, 혜산에서는 8500원에 거래되고, 디젤유는 1kg당 평양 5100원, 신의주 5300원, 혜산은 5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 주간 북한 장마당 정보’였습니다.

1. 요즘 여름철이라 주민들이 더위를 날려 보내려고 시원한 수박을 많이 구매하더라구요, 이시간에는 북한 시장에서의 여름철 과일 거래에 대해 들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강기자 지금 북한 시장에서 어떤 과일들이 잘 팔리는지요?

네, 현재 한국의 온도는 보통 30도 이상인데요, 더위를 날려 보내는 데는 아이스크림이나 수박만한 게 없죠, 저도 요즘은 수박으로 더위를 달래고 있답니다. 사실 모든 것이 대부분 갖춰져 있는 한국에서 생활하는 주민들은 더울 때 냉장고에 보관했던 아이스크림이나 수박을 꺼내 먹기도 하는데요, 북한에서는 더위에 시원한 수박을 마음대로 먹을 수가 없답니다. 북한도 최저기온 22도에서 최고기온 35도 정도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더위는 한국과 거의 마찬가지인데 주민들은 더위를 식힐 수 있는 과일이나 음료들을 마음 놓고 구매할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최근 시장정보를 전해온 소식통에 따르면 수박 한 통을 보통 만 3천 원 정도를 한다고 합니다. 주민들은 수박을 더위 때문에 먹는다기보다 맛으로, 또 소, 대사가 있을 경우에 구매한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2. 그렇군요, 수박 가격이 만 3천 원 정도면 북한 주민들에게는 비싼 가격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데 어떠세요?

네, 옳게 보셨는데요, 현재 북한 양강도 시장에서 쌀 1kg의 가격은 5500원으로 수박 1개를 사려면 쌀 2kg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생계가 어려운 북한 주민들의 경우를 본다면 수박 1개를 산 대가로 10여 명이 굶을 수 있는 조건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요, 비닐하우스에서 수박이나 다른 과일농사를 짓기 때문에, 사철 과일을 먹을 수 있는 한국주민들은 이해를 못하시겠지만 북한 주민들은 중국에서 수입해 들어오는 수박 등 과일들과 북한의 사과처럼 움(땅 구덩이)에서 저장했던 것을 구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수입과일은 관세가 있고 또 장사꾼들의 이익추구 때문에도 가격이 비싸겠죠? 또 북한 내에서 저장했던 사과들은 저장량이 적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는 것이 소식통의 말입니다.

3. 수박 외에 다른 과일들에 대한 현황은 어떻습니까?

네, 현재 혜산농민시장에서 파이내플(파인애플) 1개 가격은 만원이라고 합니다. 역시 쌀 2kg정도를 살 수 있는 돈인데요, 그리고 시원함을 주는 배는 1kg에 만원이라고 합니다. 배 1kg은 보통 4개 정도라고 합니다. 주민들은 과일을 먹고 싶고 더워도 참아야 한다는 생각이 더 강하다고 합니다. 더운 것은 참을 수 있지만 배고픔은 참을 수 없다는 것이죠.
그리고 바나나는 한 개당 2500원을 한다고 하는데요, 이런 고급스러운 과일들은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주로 구매를 한다고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그리고 도시 주민들은 이따금씩 있는 모임을 통해 맛을 볼 수 있는데 산골에서 사는 주민들은 결혼식이나 추석 때나 맛을 볼까말까 한다고 하네요. 그러고 보니 2006년 추석 때 아버지 산소 곁에 있던 한 주민이 제사가 끝난 다음 음식을 나눌 때 바나나를 먹을 줄 몰라 껍질 채 한입을 베물었던 생각이 납니다. 북한 주민들에게 바나나는 익숙한 단어이지만 맛을 보지 못한 주민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이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2000년대 초부터 중국과의 무역이 활성화되면서부터 북한 시장에 바나나 등 남방과일들이 등장했고 이전에는 말로만 들어왔던 주민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껍질 채 먹었다는 이야기도 그리 생소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죠. 또 가격이 비싸다보니 일반 주민들은 구매를 잘 안하려고 하는데요, 장사꾼들은 고가의 과일보다 백살구나 추리, 사과, 배 등 제철에 나는 싼 과일을 판매하려고 한답니다. 참 추리가 뭔지 모르시죠? 한국에서는 자두라고 불리는 데요 북한에서는 추리라고 합니다.

4. 한국에서는 냉동시설이 잘 돼 있어서 주민들은 구매한 수박을 냉장고에 넣었다 시원하게 꺼내먹을 수 있는데요, 북한처럼 냉장고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는 어떻게 보관하는지 궁금합니다.

네, 참 아이러니 하게도 북한 주민들은 전문적인 시설이 갖춰지지 않아서 자연의 원리를 이용하기도 하는데요, 산골에서 흘러내리는 시원한 물을 가져다가 거기에 수박이나 다른 음식들도 담가놓고 보관을 한답니다. 저희가 살던 양강도에선 참외가 잘 됐었어요, 저는 가까운 농장에 가서 참외를 가져다가 비닐주머니에 넣어서 샘물에 띄워놓기도 했습니다. 저의 집 울타리 안에 샘물이 있었는데요, 언젠가 일하러 갔다가 점심시간에 들어오니 참외봉지가 없어진 거예요. 아마 지나가던 행인이나 아니면 상품구매로 집을 방문했던 누군가가 물을 먹으려다 참외를 발견하고 가져갔겠죠, 그 일이 있은 다음부터 음식만 보관했답니다.

5. 이윤을 추구하는 시장 상인들의 경우 수박이나 파이내플 같이 비싸서 판매가 잘 안 되는 과일들보다 상대적으로 싼 과일을 팔려고 할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옳게 보셨네요, 제가 상인이라도 그런 생각을 했을 것 같습니다. 잘 팔리지 않고 어쩌다 나가게 되는 고가의 과일들은 뒤로 하고 일반 주민들이 부담을 크게 가지지 않고 구매할 수 있는 그런 과일들을 판매한다면 구매자나 판매자의 얼굴에 웃음이 피고 장사도 즐거운 마음으로 하게 되겠지요.

6. 한국에서는 유통업이 발달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받는데 큰 애로가 없는데요, 북한의 경우 교통망이 거의 마비상태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라는 증언들이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교통이 원활하지 않는데 유통은 어떤 형식으로 이뤄지는가요?

네, 북한의 고질적인 전력난을 꼬집으셨는데요, 맞습니다. 북한의 교통망이 거의 마비상태에 이르고 있다는 증언들이 많구요, 실지 북한에서 열차를 이용하여 이동한다고 하면 며칠 분 식량을 싸가지고 떠나야 할 정도로 열차지연이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 열차를 이용하여 상품을 나르는 장사꾼들은 물건이 상하기가 일쑤라고 합니다. 저도 2005년 김책에서 물고기를 구매해가지고 혜산까지 들어가려고 열차를 탔었는데요, 가지고가는 짐의 무게가 50kg정도만 돼도 걸어가고 싶을 정도로 차가 움직이지 않는거에요. 전기가 무려 3일을 오지 않아서 한 곳에서 3일을 보냈는데요. 저는 물고기를 180kg정도를 가지고 있어서 걸어갈 수가 없었는데 보통 50kg정도나 그 이하의 짐을 가지고 있는 주민들은 전기가 오기를 기다리다 지쳐서 서비차나 다른 열차를 탈 수 있는 지역까지 걸어가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열차보다 서비차가 활성화 되고 있어서 열차를 이용하는 주민들보다 서비차를 이용하는 주민들이 더 많다고 합니다. 열차가격보다 서비차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주민들은 정전된 시간동안의 장사행위가 늦어지는 것과 또 물건을 도난당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도 서비차를 이용하려고 한답니다.

7. 최근 북한 시장에서 잘 팔리고 주민들이 많이 사먹을 수 있는 과일이 뭐가 있을까요?

네, 최근에는 함경북도 회령에서 주로 생산되는 백살구가 많이 팔린다고 합니다. 북한 함경북도 특산물인 백살구는 신맛보다 단맛을 많이 내는 과일이며 북한은 천연기념물 439호로 지정하고 보호하고 있기도 합니다. 백살구는 쉽게 물러지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하는 것도 쉽지만 상한 백살구로는 술도 만들고 통조림으로도 만들어 먹는다고 하네요, 보통 백살구는 만 2천원이나 만 3천 원 정도를 한다고 하는데요, 사과를 사먹기보다 제철에 나오는 백살구를 사려는 주민들이 많다고 합니다.

8. 말씀을 듣고 보니 과일 1kg을 사려면 쌀 2kg정도를 포기해야 되네요,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은 쌀 2kg을 포기하면서까지 과일을 구매하기는 어려울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맞습니다. 보통 1kg의 과일을 구매하려면 쌀 2kg을 포기해야 하는 것만큼 대부분 주민들은 선뜻 과일구매를 하려고 안하는데요, 그렇다고 전혀 과일을 먹지 않을 수도 없잖아요. 이럴 때는 산과일이나 산열매 등으로 해결하기도 한답니다. 양강도의 경우 지금은 매젖이라는 열매가 있는데 달콤하고 약간 새콤하기도 한 맛을 내는 산열매가 있구요, 또 산딸기나 가시딸기 등 딸기종류만도 서너 가지가 있어서 굳이 과일을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거죠.

저는 북한에서 살 때 이맘때면 거의 매일이다시피 산열매를 따러 산에 가곤 했었는데요, 저의 고향은 과일이 전혀 없는 산골이어서 과일보다 산열매를 주로 먹었어요. 며칠 안 있으면 들쭉가을도 시작되는데 6월부터 10월까지 갖가지 열매들이 나오기 때문에 과일을 굳이 사먹지 않아도 된답니다.

9. 최근 갓 나오기 시작한 과일인 백살구는 회령에서만 생산이 되는 것인가요?

네, 북한 함경북도 회령에서만 생산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회령시에서는 백살구 전체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정도의 살구농장이 1200ha인 3600평에 달하는 살구농장이 있답니다. 특히 창효리에서 생산되는 백살구는 북한의 천연기념물 439호로 지정하고 보호하고 있다는 것이 회령출신 탈북자들의 말입니다. 

10. 원산지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과일 가격이 다를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네, 원산지를 벗어난 모든 판매지에서의 가격은 각이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북한은 가격에서도 장사꾼 마음대로 올리고 내리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이득을 취할 수 있다거나 아니면 어느 정도의 이윤만 남기면 된다는 식으로 장사꾼 본인이 알아서 가격을 정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이윤을 보려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시장에서의 같은 상품의 가격을 알아본 다음 자신의 상품도 가격을 정하고 판매를 하는데요, 이런 경우는 드물게 있고 대부분 장사꾼들은 달리기꾼들이라고 불리는 도매꾼들을 통해 상품을 도매로 넘겨받은 후에 판매를 하게 됩니다. 결국 도매꾼이 원산지에서 얼마만한 가격에 물건을 가지고 왔는가에 따라 판매지의 상인에게 넘겨지는 값이 정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도매로 상품을 넘겨받은 장사꾼도 어느 정도의 이윤을 봐야하기 때문에 넘겨받은 가격에서 더 올린 값으로 물건을 팔게 되는 거죠, 백살구나 다른 과일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경제학 전공 mjkang@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