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건성 박수치다’ 숙청된 장성택…지금 北간부들은?

북한의 사실상 2인자였던 장성택이 처형된 지 오늘(12일)로 1년이 지났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고모부로 권력을 자랑하던 장성택은 왜 갑자기 숙청을 당해 목숨까지 잃게 됐을까?









▲장성택이 특별군사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끌려나가는 모습. /사진=조선중앙TV 캡처


북한이 장성택 처형을 발표하면서 공개한 판결문의 일부를 살펴보자.


“놈(장성택)은…경애하는 김정은 동지를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높이 모시였다는 결정이 선포되여 온 장내가 열광적인 환호로 끓어번질 때 마지못해 자리에서 일어서서 건성건성 박수를 치면서 오만불손하게 행동하여 우리 군대와 인민의 치솟는 분노를 자아냈다.”


‘건성건성 박수를 친 것’이 숙청의 주요원인이었다는 우스갯소리는 장성택 숙청 직후 술자리에서도 심심찮게 등장했던 안주거리 소재중의 하나였다. 예상치 않았던 북한 권력 내부의 변동을 해학적으로 풀어낸 것이었겠지만, 사실 이 말처럼 장성택 숙청의 원인을 상징적으로 풀어낸 것도 없지 않을까 싶다. 이른바 김정은 유일영도체제에 저해가 되는 인사가 숙청됐다는 의미에서이다.


그러한 숙청의 결과가 북한 권력층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는 이후 공개된 북한 영상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 아버지뻘 되는 고위간부들조차 김정은 앞에서는 두 손을 공손히 모으고, 김정은의 말 한마디라도 놓칠세라 수첩을 놓지 못하는 모습이 드물지 않게 목격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모부까지 죽음으로 몰아넣는 김정은의 잔인한 면모를 두 눈으로 똑똑히 지켜 본 북한 간부들로서는 계속되는 숙청 속에 언제 목숨을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 김정은에게 맹목적인 충성을 바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장성택 숙청 이후 1년간 김정은의 권력이 더욱 강화됐다는 분석은 이러한 면에 기인한다.









▲김정은 앞에서 북한 고위간부들이 두 손을 공손히 모은 채 서 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김정은 앞에서 보두 다 수첩을 꺼내들고 적고 있는 간부들 모습. /사진=조선중앙TV 캡처


北 고위간부들, 김정은에게 정말 충성하고 있을까?


하지만, 아들뻘인 김정은 앞에서 깎듯이 예의를 갖추는 고위간부들의 모습은 ‘충성스런 부하’라기보다 ‘애처로운 인간’이라는 이미지로 투영된다. 마치 살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라고나 할까? 이들은 도대체 어떤 속마음을 갖고 있는 것일까?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 모두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로 북한을 통치했지만, 김일성 시대에는 김일성과 항일 빨치산 활동을 같이 했던 동료집단 간에 자발적 충성 분위기가 존재했다. 일제와의 무장투쟁 과정에서 생사고락을 같이 하며 생성된 끈끈한 연대의식이 김일성과 측근들을 묶어놓고 있었던 것이다. 김일성이 해방 직후의 권력투쟁에서 국내파나 연안파, 소련파들의 견제를 물리치고 정권을 장악해 가는데도 항일 빨치산계열의 자발적 충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장성택 숙청 이후 권력을 강화한 것으로 보이는 김정은의 주변에 자발적 충성집단이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자발적 충성은 어려운 시절을 같이 동고동락한 경험이나, 상하간에 진정성이 교감될 때 생기는 것인데, 김정은의 주변 인사들이 이런 감정을 가지고 있을지 모르겠다.


표면적으로 강화된 것처럼 보이는 김정은의 권력이 안정화되느냐의 여부는 김정은이 자신을 진심으로 믿고 따르는 충성그룹을 만들어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