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무기 개발 50년 역사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6.25전쟁이 끝난 직후부터 시작됐다. 정권의 생존을 위해 핵무기 제조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1955년 원자 및 핵물리학 연구소를 설치했고 1965년 소련의 협조로 영변에 연구용 원자로를 건설했다.

1980년대 북한은 자체기술로 5㎿급 원자로를 건설했으며, 1989년 영변의 5㎿ 원자로를 이용해 플루토늄을 생산해 원자탄 제조를 의심받았다.

북한의 핵시설은 북한 자체 기술로 건설됐고 주로 영변지역에 집중돼 있다. 핵무기 개발은 김일성이 직접 지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은 영변에 작동중인 5㎿급 원자로와 건설이 중단된 50㎿급 및 200㎿급 원자로를 모두 완성하면 1년에 45개 이상의 핵폭탄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미국은 1989년부터 위성사진을 통해 북한의 핵시설을 감지하기 시작했고 북한의 핵개발 계획을 저지하려는 노력을 전개해왔다.

북한은 1985년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가입했으나 핵사찰은 수용하지 않았다.

북한은 1991년 미국이 한반도 전략핵무기 철수와 전략무기 감축 계획을 발표하자 남한과 기본합의서를 체결하고 한반도 비핵화를 선언했으며, 이듬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수용했다.

북한은 그러나 1993년 IAEA의 영변 특별사찰 요구를 거부하며 NPT 탈퇴를 선언했다. 이로 인해 미국과의 긴장이 고조되다 1994년 10월 제네바 북미 핵회담을 통해 타협안이 도출됐다.

이 회담에서 북한은 핵사찰을 수용하는 대가로 많은 이익을 챙겼다.

북한은 1989년부터 건설이 시작된 금창리 지하시설을 조사하는 조건으로 식량 60만t 제공과 경제제재의 부분적 완화, 북미 외교관계 정상화 등을 얻어냈다.

북한은 다시 핵 활동 동결 선언을 통해 1995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로부터 경수로를 공급받기로 했으나 이후 북한은 경수로 지연건설이 제네바합의 파기라고 경고하고 미국은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했다고 맞서면서 2002년 11월 KEDO의 대북 중유지원이 중단됐다.

북한은 2002년 재차 NPT를 탈퇴하고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했고 그해 10월 국제적인 주목 속에 핵개발을 시인함으로써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한 6자회담 태동의 모티브를 제공했다.

2003년 4월 시작된 북-중-미 3자회담은 이후 한국, 일본, 러시아가 참여하는 6자회담으로 확대돼 북한의 핵개발 포기를 대가로 체제보장과 경제적 지원 등을 제공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하기에 이르지만 2005년 11월 5단계 회담 이후 공전 상태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자주적 국가안보를 위해 시작됐으나 탈냉전 이후 점차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경제적 이익과 정권유지 보장을 얻으려는 쪽으로 전환되고 있다. 핵무기 개발을 외교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2005년 2월 핵 보유 선언 후 1년 8개월만에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의 지하에서 실시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번 실험은 북한이 공식 발표한 첫번째 핵실험이다.

그러나 북한이 정말로 핵실험을 했는지와 실험을 통해 기대했던 결과를 얻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베이징=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