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탈출 올해만 벌써 73명…국경단속 풍선효과?

김정은 주도의 국경단속 강화 조치 이후 북한 주민들의 해상 탈출이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만 벌써 6차례 걸쳐 73명의 북한 주민이 목선 등을 이용해 탈출을 감행, 남한 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2009년도 해상을 통한 남한 입국이 1회 11명에 그쳤고, 2010년도에는 5회 9명(서해 3회 3명, 동해 2회 6명)이었다는 점에서 올해 해상 탈북자 규모가 큰 폭으로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탈출 규모도 2~3명에서 최근에는 20~30명까지 늘어나는 등 집단 탈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북중 국경지역 단속 강화로 육로 탈북이 어려워지자 해상으로의 탈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중국 내 탈북자 단속 강화에 따른 체포 위협의 증대도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즉 국경 검열과 중국에서의 단속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라는 해석이다.


해상 탈출은 국경 탈북 루트를 알지 못하는 내륙 지방 주민들이 택할 수 있는 최선의 탈북 방법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올해 초 해상으로 탈출했던 한 탈북자는 데일리NK와 통화에서 “해상으로 오면 목숨을 걸고 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육로 길을 모르고 국경지역과 중국 내 탈북자 단속이 강하다보니 해상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해상탈출은 육로보다 환경적인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치밀한 사전 준비는 필수다.


기상조건, 조류 등 바다 날씨를 잘 알고 있어야 하고, 집단으로 탈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안유지’가 성패를 좌우한다. 앞의 탈북자는 이에 대해 “탈출을 위해 몇 년을 준비했다. 가족과 친척, 아주 가까운 사람들과만 논의해 탈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선박은 해안지역에 거주하는 일부 주민들과 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해상 탈출이 늘어나기는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철저한 주민 감시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 체제의 특성상 대규모 ‘보트 피플’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반적인 분석이다.


한편, 이번에 해상 탈북한 주민 21명이 평북 선천군 출신이라는 점에서도 주목을 끌고 있다. 선천군에서는 최근 김정은 주도의 검열이 진행돼 조개잡이를 하는 수산사업소 기지장 등이 총살당했다.  (☞지난기사보기) 그러나 통상 해상 탈북 준비는 수개월에서 수년 간 신중하게 진행된다는 점에서 이번 검열과 무관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