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주민, 고생길 훤한 해외 노동력 파견 꺼려”

북한 해외 노동자들이 당국에 의한 임금착취, 강제노동, 감시통제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평양 주민들 사이에서 해외 파견을 꺼리는 조짐이 확산되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북한 사정에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11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해외로 나가는 건 대체로 평양 사람들이었지만, 최근 지속적으로 숫자가 감소하고 있다”면서 “해외 노동자로 파견되면 노예처럼 일한다는 것을 알게 됐고, 그로 인해 지원 숫자가 감소한 것”이라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평양 주민들의 지원 감소로 노동자 해외 파견은 지방 주민들로 채워지고 있다”면서 “지방 주민들의 생활수준이 평양보다 훨씬 한심하기 때문에, 그들 역시 처참한 상황을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해외 노동자의 삶을 선택한다”고 덧붙였다.

해외 파견은 과거엔 뇌물을 주고서라도 가겠다는 인원이 넘칠 정도로 ‘인기’였다. 공장이 제대로 가동하지 못해 월급도 없는 현실에서 그나마 ‘외화’를 만질 수 있다는 기대심이 반영된 결과였다.

특히 2012년에는 탈북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족 볼모’가 필요한 당국이 ‘미혼자는 안 된다’는 방침을 내걸자, 한때 결혼 붐이 일어날 정도로 경쟁이 치열했다.

하지만 시장화의 영향으로 돈벌이가 용이해지자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제는 무엇이든 사고팔면서 나름 먹고 살 수 있게 된 주민들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해외에서 ‘통제만 받고 정작 돈은 못 버는’ 노동자들만 넘쳐난다는 소문이 퍼지자, 인기가 급속도로 사그라지고 있다고 한다.

특히 최근 해외 식당 종업원 집단 탈북 사건 이후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졌다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소식통은 “김정은 정권 들어 ‘공포통치’ ‘연좌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누가 자녀들을 해외로 내보내려고 하겠나”라고 반문하면서 “부모들은 예전에는 해외 경험이 출세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감시 대상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사실은 러시아 현지 소식통에 의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는 “과거에는 평양 출신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지금은 평양 출신 노동자들은 40퍼센트 정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어 “먹고 살기 힘들어서 나온 사람부터 부부 간의 갈등 때문에 잠시 떠나온 사람까지 그 구성은 다양하다”면서 “이들은 노예처럼 일할 것을 각오하고 왔지만, 이 정도까지인 줄은 생각도 못했다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북한 지방 주민들이 내부에서 마땅한 삶의 출구를 찾지 못해 해외로 파견 나왔지만, 더욱 암울한 현실에 직면하게 된 셈이다.

소식통은 “러시아에 파견된 노동자들은 한 달에 총합 1000달러(계획금) 정도를 당국에 받쳐야 한다”면서 “이 돈은 러시아 땅을 떠날 때까지 계속 이월돼서 누적되기 때문에 고통에 신음하는 노동자들이 많은 것”이라고 실상을 전했다.

이어 그는 “지정된 돈을 내지 못하면 보위지도원이 ‘꼬리표 딱지’를 붙인다고 위협을 한다”면서 “이런 꼬리표 딱지가 붙어 조국(북한)에 돌어가면 당 비서(현재는 위원장)부터 보위지도원까지 매일 같이 닦달하기 때문에 어떻게든 여기서 해결하기 위해 발버둥 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