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인도 받은 김정남 시신 어떻게 처리할까



본지가 2011년 보도한 ‘김철(Kim chol)’의 페이스북에 올라온 김정남 미공개 사진. /데일리NK 자료사진

말레이시아가 북한 김정남의 시신을 북한 측에 인도할 것을 시사하면서 향후 북한 당국이 어떤 대응 절차에 들어갈지 주목된다.

우선 아흐마드 자히드 말레이시아 부총리가 법대로라는 원칙을 강조한 만큼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김정남 시신은 북한 대사관 측에 인계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북한 대사관이 현지에서 김정남의 장례를 치르거나 혹은 시신을 즉시 북한으로 송환할 가능성을 짚어볼 수 있다.

다만 북한으로서는 ‘북한 소행’으로 의심 받는 김정남 피살 사건을 굳이 부각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속하고 조용히 북한으로 시신을 송환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북한으로 송환된 이후에는 별다른 소란 없이 시신을 처리할 것이란 관측이 중론이다. 이번 피살 사건이 북한 소행이 맞는다면 증거 인멸 차원에서 시신을 조용히 묻을 수밖에 없다는 것. 게다가 북한 당국이 이제까지 김정남의 존재를 숨겨왔던 만큼, 이번에도 되도록 주민들 사이에서 김정남이 회자되지 않게 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 고위 탈북민은 16일 데일리NK에 “북한이 김정남 시신을 인도해달라고 하는 건 증거 인멸을 위한 것도 있지만, 국제사회 ‘인권 압박’을 신경 썼기 때문일 것”이라면서 “김정일 장남으로 알려진 인물의 시신을 해외에 방치해놓느니 북한으로 송환해가는 모습이라도 보이려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북한은 김정남 시신을 송환 즉시 아무도 모르는 곳에 묻어버릴 것”이라면서 “무덤에 김정남이라는 표기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북한 내부 주민들은 외부 정보를 접하지 않는 한 김정남이 죽었는지, 송환됐는지, 아니 그게 누군지도 모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이 암살 의혹을 회피하기 위해 김정남의 죽음을 공식 언급하거나 장례 절차를 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김정남이 해외서 ‘반공화국 적대세력’에 포섭된 괴한들에 의해 피살됐다고 주장할 수 있다는 것. 다만 이 경우에도 북한 내부에서 김정남의 존재가 부각되지 않도록, 대내 매체가 아닌 대외 매체를 통해서만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선 ‘부관참시(죽은 뒤 죄가 들어나면 시신을 한 번 더 훼손하는 형벌)’ 등 극형을 내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정남이 해외 생활 중 외신들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3대 세습과 김정은의 통치력을 공공연히 비판한 바 있기 때문. 일부 매체 보도처럼 김정남이 김정은의 소환 지시에 불응한 적이 있었다면, 반동죄를 적용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이와 관련,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은 15일 국회 긴급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김정남 시신 인도 요구는 ‘부관참시’를 하려는 것”이라면서 “북한은 엄청난 반역자의 시신을 불에 태우거나 갈가리 찢어버린다. 장성택의 경우도 불에 태워 훼손한 바 있다”고 말했다.

실제 북한에선 1990년대 후반 ‘용성사건’ 이른바 심화조 사건 당시 김만금 전 농업위원회 위원장이 반당·반혁명분자로 매도돼 부관참시를 당한 사례가 있다.

다만 세간의 관심이 김정남에 쏠려 있는 만큼, 김정은이라 할지라도 쉽게 시신훼손 등의 인권 유린을 가하긴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만만찮다.

한편 아흐마드 자히드 말레이시아 부총리는 16일 기자들에게 김정남 시신 인도 여부와 관련 “어떤 외국 정부라도 요청하면 이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면서 북한에 인도할 방침을 시사했다.

자히드 부총리는 다만 “(인도를 위해) 밟아야 할 절차들이 있다”면서 “모든 경찰(수사)과 의학적 절차가 마무리 된 이후에 (북한) 대사관을 통해 가까운 친족에게 이 시신을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부검 결과 발표는 여전히 진행하겠단 뜻으로 풀이된다.

자히드 부총리는 이어 “우리의 정책은 어떤 외국 국가와도 양자 관계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