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내 北핵실험 관련 지진파 감지 가능”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국가지진센터, 원자력안전기술원, 지질자원연구원 등 국내 관련 기관들이 핵실험 감지 태세를 강화하면서 군 당국과 정보공유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기상청 국가지진센터는 24시간 2인 상시 근무체제로 북한 지역 내 인공지진 징후 포착과 감시 등의 업무를 집중하고 있다. 지질자원연구원도 24시간 상시 근무를 통해 북한발(發) 지진파와 공중음파를 상시 측정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북한이 핵실험을 한 이후 발생하는 지진파·공중음파를 감지해 관련 정보를 분석, 군 당국을 비롯한 관계기관에 제공하게 된다. 특히 지진파의 원인이 폭발인지, 지각의 움직임인지 여부와 진원지 파악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특히 지진파는 초당 6.5km의 속도로 지각을 통해 확산되기 때문에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하는 즉시 관측소에서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는 핵실험 징후가 포착되면 확실한 핵실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우나’라는 고정식 제논 탐지기를 운영한다. 사우나는 동해와 서해 최북단에 설치돼 있어 이를 통해 북한의 핵실험 여부를 최종 판단하게 된다.


더불어 이동식 방사능 핵종 포집장비도 활용되는데, 육상·해상·공중에서 군의 장비를 협조 받아 제논 등 핵실험으로 인해 발생하는 방사능 물질을 포집한다.


국가지진센터 관계자는 데일리NK에 “감지한 지진 파형이 인공적인지, 폭발해 의한 것인지를 분석하고 지진규모, 진원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정부 당국과 수시로 공유하고 있다”면서 “최근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으며 북한 핵실험 관련 징후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자연적인 지진파는 지각이 쪼개짐으로써 발생하기 때문에 핵실험으로 발생하는 지진파에선 지각의 움직임을 관측할 수 없다”면서 “자연적인 지진파와 폭발에 의한 지진파는 주파수 대역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핵실험장으로부터 남한의 지진 관측소까지 약 400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지진파 감지에는 1분가량 소요될 것이고, 분석시간까지 포함하면 수 시간 안에 핵실험 여부를 판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