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 개발 박차 北, 열악한 의료환경 극복 열쇠?

북한의 의료 상황이 매우 열악하다고 알려진 가운데, 원격 진료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4일 ‘인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먼거리 의료 봉사를 잘하고 있다’는 사진을 싣고 의료진이 원격으로 수술을 지원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노동신문은 지난달 26일에도 “’12유도 손전화기용 심전계’는 지능형손전화기(스마트폰)를 리용(이용)하여 순환기 질병환자들이 심전도 측정 자료를 전문과의사에게 무선통신으로 보내주어 먼거리 구급의료 봉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기구다”라고 전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환기 질병 환자를 위한 심전도 측정기술 개발이 막바지에 다다랐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또 신문은 지난 3월에도 “먼거리 의료봉사 체계가 실현되어 전국의 녀성(여성)들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과 유선질병들의 치료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먼거리 의료’는 광섬유 통신케이블로 연결되어 컴퓨터 화상과 음성을 통해 환자들에 대한 치료와 건강관리를 하는 시스템으로, 우리 원격 의료의 북한식 표현이다.

이와 관련, 서울의대 통일의학센터는 2016년 ‘김정은 시대 북한 보건의료체계 동향’을 통해 “김정은 시대 보건의료체계 특징으로 ‘먼거리 수술지원체계’나 ‘먼거리 의료봉사체계’와 같은 의료서비스의 전산화 및 원격의료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평가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 원격의료가 의료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아직은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 많다. 또한 북한의 원격 진료는 일반 북한 주민들보다는 특권층과 상류층만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통일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2018 북한인권백서’에서는 “일반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1, 2차 의료 체계가 상당히 붕괴되었다”면서도 “중상층, 간부급 접근성이 높은 3, 4차 의료기관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다”고 지적하고 있다.

북한에서 원격 진료가 가능한 병원이 보통 평양에 있는 병원 혹은 3차 의료기관인데 이곳은 주로 신흥부유층과 간부 및 특권층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 입국한 한 탈북자는 “북한에 원격 치료가 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들어봤다”며 “병원에 직접 가서도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데 원격 진료 개발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2008년부터 원격의료에 투자하고 있으며 2013년 10월 원거리 수술 지원 체계를 만들었다고 홍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