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기간 움직이지 마라…몇 갑절로 값 치른다”

북한 당국이 함경북도 등 접경지역에 보위사령부(기무사령부) 소속 군인들까지 파견해 주민들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인민반회의를 통해 김정일 사망 관련 애도행사를 제외하고 5명 이상 모이지 말라는 지시도 내려졌다. 소요사태 등 만약의 사태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시내 곳곳에는 무장한 군인들과 보위원, 보안원 등 법기관원들이 유동인원을 통제하고 있다.


함경북도 무산 소식통은 20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보위사령부 소속 하전사(일반 병사) 8명이 들어와 있다”며 “주민 소요가 일어날 경향이 있을까 파견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보위사령부는 평상시에도 당과 법기관 소속 간부까지도 수사·체포할 권한이 부여되기 때문에 주민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다. 통상 반(反)체제 활동을 적발하고,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 소식통은 이어 “보위원들이 전날 오후 5시에 인민반장들에게 애도행사 외에는 5명이상 모이지 말라는 포치를 했다”고도 전했다.


이와 관련 온성 소식통은 “인민반회의를 통해 ‘애도 기간에 비행(非行. 잘못된 행동)이 없어야 한다. 조용히 있어라. 몇 갑절로 값을 치르니 움직이지 말라’고 엄포했다”고 말했다.


더불어 국경지역의 통제도 대폭 강화됐다. 평상시엔 국경경비대만 나와 경비를 섰는데 현재는 교도대(한국의 예비군)까지 동원돼 이중삼중의 경계를 서고 있다고 한다.


소식통들은 “두만강과 가까운 1선에는 국경경비대가, 2선에는 교도대, 3선에는 기업소별로 나온 사람들이 구역을 맡아 경비를 서고 있다”며 “맡은 구역에서 사고(도주 등)가 발생할 경우 담당자를 비롯해 단위 책임자까지 모두 처벌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다”고 말했다. 시내를 통째로 에워싸고 있는 형태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이 같은 당국의 통제는 김일성 사망 당시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북한 당국은 1994년 김일성 사망 직후 국경경비를 강화하거나 군 등을 동원해 유동인원을 통제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무산 소식통은 “수령님(김일성)이 서거하셨을 때는 자발적으로 애도하는 분위기였다. 당시에는 특별한 통제 없이 ‘애도 기간이니까 사고 없게 하라’는 지시만 있었는데도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애도했다”고 소회했다. 


한편 현재 양강도에서는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을 찾는 조문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양강도 소식통은 “시내는 애도 분위기로 어른이고 아이들이고 기념탑으로 계속 올라가고 있다”며 “어제부터 현재까지 밖에는 사람들의 발자국 소리가 계속 들리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울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덤덤해 하는 사람도 있다. 주로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들이 기념탑에 올라가 울고 있으며 어른들은 크게 눈물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